[책을 내며]
지금, 왜 세계종교를 이해할 필요가 있을까?
... 이러한 글로벌화의 시대 속에서 고대 문명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종교는 어떻게 될까? 종교는 인류의 탄생 이래 이루어져 왔던 중요한 역할을 상실하게 되는 것일까? 아니면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종교의 새로운 탄생이나 발흥이라는 사태가 생겨나게 될까? 나의 견해에 의하면, 종교는 정치와 경제의 문제와 동반하여, 혹은 그 이상으로 중요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세계에는 수많은 국가와 민족이 있다. 그중에서 종교가 없는 국가나 민족은 존재하지 않는다. 종교는 인류의 탄생과 함께 생겨났으며, 인류가 걸어온 것과 역사를 함께 하고 있다. 특정 민족에게만 신앙되는 종교에는 고유의 명칭이 없고, 교의의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각각의 종교를 창시한 개조인 교조도 특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한 ‘민족종교’로 불리는 단계의 종교가 확실한 형태를 갖추게 되면 고유의 명칭으로 불리게 된다. 이는 민족의 틀을 넘어서 확장되기에 이른 것인데, 그 전형으로서 기독교를 들 수 있다. 기독교는 민족종교인 유대교에서 생겨났다. 그 교조인 예수 그리스도 역시 유대인이었다. ...
글로벌화와 그에 병행하는 정보화가 진전하게 되면서 근대화를 추진하는 주체가 되었던 국민국가는 쇠퇴했으며, 국가의 비호를 받을 수 없는 사람들을 통합하는 토대로서 종교의 역할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성 종교를 대신해서 새로운 종교가 세력을 확대하는 현상도 생겨나고 있다. ...
종교는 단지 가르침을 전하고, 의례를 실천하는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특정의 종교를 신앙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까지 영향을 주고, 개인이 사물을 이해하는 시각과 세계관의 형태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신의 보이지 않는 손’의 움직임을 강조하는 시장 원리주의의 배후에는 이 세상을 창조한 유일 절대신에 대한 신앙이 있다. 시장원리주의라고 하는 자체가 종교적인 원리주의의 대두를 배경으로 탄생하게 된 것이다. ...
그러나 글로벌화는 자신과는 다른 종교를 가진 타자가 일상적인 관계성을 갖고 있지 않은 이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 국내에서도 차츰 일본인과는 다른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살게 되었다. 이웃을 이해하며 원활한 인간관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그 종교에 대해서도 일정한 지식과 인식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 ...
본서의 역할은 세계의 종교에 대해서 그 현 상태를 보여주고, 기초적인 인식을 확립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류의 탄생과 함께 생겨난 종교는 그 후 긴 역사를 거쳐 글로벌하게 전개되었으며,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개별적인 종교의 역사와 교의를 이해하는 것만도 무척 많은 정보가 필요하고 시간도 걸린다. 그러나 일반인들에게 정말로 필요한 종교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은 제한되어 있다. 그 종교의 본질적인 특징은 어디에 있으며, 타종교와 어떻게 다른 것일까? 중요한 것은 종교 전반에 있어서 공통적인 측면과 개별 종교의 고유한 측면을 구별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