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인류가 AI 개발을 통해 하고 있는 것은 우리 자신을 많이 닮은 피조물(creature)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기억력과 판단력을 갖고, 추상적인 개념을 다루고, 추론이 가능하며, 언어로 외부와 소통하고, 주변을 제어할 수 있는 존재가 만들어지는 중이니까요. 머지않아 AI는 인류에 필적하는 지적 능력을 가진 지구상의 새로운 존재로서 확실히 자리매김하게 될 겁니다. 인간이 평소에 하는 일을 대신하는 간단한 AI는 우리를 편하게 해 주지만, 인간에게도 어렵거나 불가능한 일을 해내는 강력한 AI는 우리의 삶과 세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겁니다. 그리고 바로 그런 능력을 가진 AI들이 지금 눈앞에 출현해서 우리를 놀라게 하고 있습니다.
(중략)
인간과 다름없는 지능과 희로애락의 감정을 가졌던 나무 인형 피노키오는 결국 소년이 됨으로써 소망을 이뤘죠. 현실에서의 AI는 어떤 존재이며, 무엇을 할 수 있으며, 무엇을 하게 될 것이며, 무엇이 되고자 할까요. 그리고 우리 인간은 그들과 어떤 관계에 놓이게 될까요.
이 책은 그에 관한 것입니다.
나는 과학자가 아니다. 심지어 문과 출신이고 예체능 분야를 공부했다. 그런 내가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된 연유에는 기나긴 배경과 우연, 도움 등이 있었지만 여기서 그런 말들을 일일이 주워섬기진 말자. 그저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거나 불편해하는 과학을 내가 듣고 싶었던 방식으로 모두에게 이야기하고 싶었다. 그게 성공적이었다고 요약하면 될 것 같다.
‘삶은 비존재의 축복받은 고요를 방해하는, 이로울 것 없는 사건으로 여길 수 있다.’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Arthur Schopenhauer
쇼펜하우어의 이 말은 무척 냉정해 보이지만, 삶의 번잡함과 괴로움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때로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힘이 있다. 그러나 ‘이미 존재하는’ 우리는 그 이롭지 않을 수 있는 사건을 받아들이고 그로 인해 생겨나는 온갖 고난들을 참아낼 뿐 아니라 개선해야 할 책무를 가진다. 이것은 누군가가 의무로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조건이 변하는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의지다. 그런데 이때의 존재는 꼭 생명체가 아니어도 좋다. 무에서 우주가 생겨난 이후 시공간을 점유해 온 모든 것이 존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