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금강에 나갔을 때
보이는 것은 쓰레기였다
하루 이틀 저 멀리,
하중도에 물새들이 보이고
물억새 높다란 강길에는
개개비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였다
여울을 타고 넘는 물방울 소리가
시원하다 느낄 때 포크레인 굉음이
금강에 울려 퍼지기 시작하였다.
아픈 금강을 보기 위해 걸었는데
어머니 품 같은 생명의 고향을 만나게 되었다
소용돌이 속 금강과 나를 남기고 싶었다
상처는 아물어 가고 있는데
아직도 금강에는 슬픔이 흐르고 있다
2018년 가을
필자는 세종시를 고향으로 보고, 이를 자연환경의 조건 속에서 우리 선조들은 어떻게 살았고, 어떤 문화를 생산하였는지를 설명하려 했다. 세종의 역사를 부분별로 파악했던 것에서 세종시의 지질, 지형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지금의 자연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파악한 후에 이런 자연지리의 조건은 어떤 선인들의 삶에 영향을 끼쳤고, 그런 결과의 문화는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자연의 의미를 물어보기도 하고, 세종시의 땅(지질)의 생성과정 이야기도 나온다. 우리나라의 전통 자연관인 산자분수령에 근거한 산줄기 물줄기의 모습도 그렸고, 연기팔경에 대한 새로운 해석도 해 보았다. 또한 금강을 중심으로 한 주변 마을들의 이야기와 지속가능한 세종시를 위한 나름의 정책도 제시해 보았다.
장남들판을 바라보며
지은이 임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