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를 정년퇴임하고 하나님의 은혜로 현재 하늘빛교회를 섬기고 있다. 한 사람의 목회자가 되어 교회가 얼마나 소중한지, 성도 한 사람이 얼마나 귀한지, 이 어려운 시대에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자들이 얼마나 멋진지를 절실히 느끼고 있다.
대광고등학교 재학 중 부르심에 이끌려 감신대와 감신대대학원을 졸업하고 교회를 섬기다가 성경 말씀의 ‘주석과 신학과 해석학’에 관한 목마름을 채우고자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클레어몬트(Claremont) 대학원 종교학부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감신대 구약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교수·학자의 사역과 더불어서 교회와 신학을 잇는 일과 성서학의 지성을 강단의 영성으로 연결하는 일에 쓰임 받았다. 신학대학(감신대, 장신대, 한신대, 서울신대) 교수 4명이 공동으로 목회하는 교회의 대표 목사가 되어 신앙공동체를 세우고 다지고 넓히는 보람과 아픔과 은혜를 누리게 하셨다.
한 교회의 주일 오후 예배를 담당하는 목회자가 되어 성경 66권의 말씀을 성도들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가는 사역에 기쁘게 쓰임 받았고, 사경회와 부흥회의 강사로 부르셔서 우리나라 곳곳의 크고 작은 교회에서 갈급한 영혼을 말씀의 생수로 채우시는 하늘의 은혜를 체험하였다. 아울러 기독교 언론매체에서 그리스도인의 신앙 세계를 곧게 세우는 신학 강연을 통해 교회를 세우는 신학자로 쓰임 받았다 .
현재는 하늘빛교회 담임목사로 매 주일 하나님이 주시는 말씀으로 사역 현장을 섬기는 일에 열중하고 있다. 그는 지금 새벽마다 “주의 말씀을 내 마음에 두었나이다”(시 119:11)라는 고백의 기도로 하루를 시작하고 있다.
저서로는 『설교로 풀어쓴 성서,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대한기독교서회, 2021), 『구약과 웨슬리』(KMC, 2019), 『새로 읽는 구약성경』(CMI, 2018), 『구약성경의 종말론』(한국성서학연구소, 2017), 『창조신앙의 복음, 창조신앙의 영성』(대한기독교서회, 2016), 『엑소도스, 하나님의 성소를 이루기까지』(KMC, 2015) 등 다수가 있다.
이 책의 얼개는 구약의 예언서 신학에 해당된다. 예전에 내가 펴냈던 ??구약신학??(초판 2002년, 개정판 2010년)은 그 글감의 모판이 구약의 오경과 토라이었다. 구약신학의 주춧돌을 구약의 오경이 구축한 신학세계에서 찾은 뒤 그 오경신학의 적용과 반성이라는 관점에서 구약의 예언서와 성문서의 신학세계를 모색했었다. 구약의 오경이 구약신학의 초석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오경의 가르침을 예언자적 통찰과 식견으로 다듬고 고치고 세운 예언자들이 없었다면 오경의 야웨신앙은 이스라엘 신앙의 들머리가 될 수 없었다. 분량만 가지고 따져도 오경은 다섯 책에 지나지 않지만 예언서는, 히브리어 성경(Tanak)의 경우, 여덟 책에 이른다. 그런 예언서를 아우르는 주제 중 하나가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소망이다. “그 날에”(봐욤 하후, awhh ~wyb) 이루실 하나님의 역사(役事)를 종말에 이르는 사색으로 펼쳐놓았다. 구약신학의 지평을 예언자들의 사색과 예언신앙의 세계로 재구성하려는 의도가 여기에 있다.
이 책은 구약성경의 종말론을 성서신학의 틀에서 탐구하였다. 구약의 종말론이 다루는 신학사상을 ‘구약에서 신약으로, 신약에서 구약까지’라는 관점에서 다루고자 했다. 기독교신앙의 경전이 구?신약성경전서인 것을 새삼 갈무리하고자 했다. 이 책은 구약의 종말론을 설교자의 공부를 돕는 레퍼런스로 소개하려는 의도도 지닌다. 설교는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설교는 기록된 말씀(성경)을 강단의 언어로 선포하는 거룩한 행위다. 하나님의 말씀이 설교자의 언어로 옮겨지기 위해서는 설교자는 우선 하나님의 말씀으로 기록된 글말이 자아내는 소리를 연주할 줄 알아야 한다. 나는 이 책이 다루는 구약의 종말론에 대한 12가지 이야기가 설교자의 사색을 풍성하게 하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