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화에는 그 뜻을 끌어 내기 위한 하나의 교훈적인 표현이 따르는 것이 전통으로 되어 있었다. 라 퐁테느는 보통 그러한 관례에 따랐다. 그것은 의무적인 것으로 생각되었으니까. 그러나 그는 교훈을 첫머리에 놓기도 하고 말미에 놓기도 한다. 그리고 이야기는 감미로운 데 반해, 교훈은 대개 시시하고 평범하다. 라 퐁테느의 교훈은 이야기 속에서 찾지 않으면 안 된다.
이 교훈이란 어떤 것인가? 장-자크 루소와 라마르티느는 라 퐁테느를 부도덕하다고 비난했다. 그들은 〈우화〉속에서 이기주의와 타산과 위선의 교훈밖에 보지 않았다. 예컨대 '매미와 개미'는 박정함을 가르치고, '까마귀와 여우'는 위선을 가르친다는 식이었다…… 이것은 그들이 〈우화〉의 궁극적인 교훈을 잘못 해석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거기에 교훈밖에 보지 않았지만, 그것은 대개 사실의 확인들이다. 이러한 확인들은 아마 어린이들에게, 개인적인 경험이라는 비싼 대가를 치르는 것을 덜어 줄지도 모른다. 그들이 인생에 들어감에 있어, 거기서 위선자와 이기주의자들을 만나리라는 것을 미리 알아 두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라 퐁테느는 우리들에게 '조심하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현명하고, 관대하고, 오로지 자기 행복에만 집착하고, 그러나 우정에 민감하고, 사람들에 대해서는, 남의 행복을 깨지 않고 자기의 행복을 조용히 추구할 것밖에 바라지 않는 신사의 도덕이다. 몰리에르도 이와 비슷한 도덕, 그러나 가정의 의무에까지 미치는, 따라서 라 퐁테느보다도 폭넓은 도덕을 옹호하고 있었다. 라 퐁테느와 몰리에르는 고전주의 문학에 있어서 몽테뉴와 볼테르를 연결하는 무종교적, 세속적 전통을 대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