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6일 : 68호

라인G1

이 책이 지금

사월엔 상처로 숨을 쉬기

잘 지내다가도 어떤 사건 이후 푹 패인 자리가 아직 남아있다는 걸 알아챌 때, 운석이 떨어진 자리, 싱크홀이 발생한 자리 같은 공동空洞을 인식할 때가 있습니다. 2021년 작품활동을 시작해 2025년 <그 개와 혁명>으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작가 예소연은 한국문학을 읽고 쓰는 많은 독자와 동시대를 살며 동시대를 이야기하는 작가입니다. '그 사건'이 무엇을 남겼는지, 이소연의 소설 <영원에 빚을 져서>는 10년의 시차를 두고 이 슬픔을, 그리고 "나는 슬픔을 믿을 거야"라고 다짐하는 마음을 이야기합니다.

10년 전에 봉사활동으로 캄보디아에서 머문 적이 있던 세 친구는 시간이 지나 틀어지게 됩니다. 좋을 땐 보이지 않던 것들이 친구를 덜 좋아하게 되면 눈에 들어온다는 건 우정의 슬픈 점입니다. 나와 혜란이 봉사활동 대상자인 '삐썻'과 너무 친하게 지내는 '석'의 모습을 보기 좋지 않게 생각했던 것처럼, 청첩장을 주는 혜란에게 2022년의 이태원이 나와 가깝다는 게 얼마나 괴로운지를 말하는 '석'이 너무 과하다고 생각했던 것처럼, 친구들도 '나'의 자격지심, '나'의 조급함 등을 알아채고 나와 멀어질 생각을 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멀어지게 된 계기에 그 사건, '침몰하는 배를 캄보디아에서 함께 본 적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들은 이 사건으로 푹 패인 자리에 대해 제대로 얘기를 나눠본 적도, 제대로 슬퍼해본 적도, 슬픔에 빚을 지겠다는 마음을 품어본 적도 없었습니다. + 더 보기

33쪽 : 나 같은 경우는 내가 속했던 세계가 일어나서는 안 되는 사건으로 말미암아 통째로 부정당하는 기분이 들었던 것 같다. 대상 없는 배신감과 이루 말할 수 없는 수치심이 수시로 불쑥불쑥 고개를 들이밀어 나를 지그시 응시하는 느낌. 그건 아마 혜란과 석이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작가는 지금 _3문 3답

Q : 도대체 엄마들은 왜 <미운 우리 새끼>를 그토록 좋아하는 걸까요? <어둠 뚫기> '나'는 소설을 쓰고 편집자 일을 하는 동성애자 남성으로 나를 이해할 의지가 없어 보이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것을 좋아하는 엄마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만약에 신이 있다면, 그래서 나와 엄마 둘 중에서 한 사람이라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면, 나는 엄마를 이해해보고 싶었다.” (14쪽) '나'가 엄마의 말을 귀담아듣는 건 엄마를 온전히 이해하고 싶기 때문인 걸까요?

A : 저도 <커플팰리스>나 <나는 SOLO, 그 후 사랑은 계속된다>를 홀린 듯이 보곤 합니다. 왜 그런 걸 보느냐고 묻는다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릴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그걸 언어로 설명하는 일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기도 합니다. 생각해보면 사랑도 비슷해서, 화자인 ‘나’가 엄마를 사랑하기에 이해하려는 노력은 궁극적으로 언어화되기 어려운 듯해요. 그럼에도 시도하는 것,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결국 사랑 아닌가 싶습니다. + 더 보기

라인y1

한국문학 MD는 지금

2025년 4월 16일은 세월호 참사 11주기입니다. 문학인들은 304 낭독회 등 문학의 방식으로 추모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진은영의 최신작 <나는 오래된 거리처럼 너를 사랑하고>에는 2학년 3반 유예은양의 생일에 시인 진은영이 쓴 시 <그날 이후>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엄마 아빠, 나를 위해 걷고, 나를 위해 굶고, 나를 위해 외치고 싸우고
나는 세상에서 가장 성실하고 정직한 엄마 아빠로 살려는 두 사람의 아이 예은이야
나는 그날 이후에도 영원히 사랑받는 아이, 우리 모두의 예은이
오늘은 나의 생일이야

<그날 이후> 부분

진은영 시집의 3장 '한 아이에게'에 실린 시 <아빠>, <천칭자리 위에서 스무 살이 된 예은에게>등을 시집에 놓인 순서대로 읽어보시는 것도 이 날을 보내는 방법 중 하나가 되겠습니다. <304낭독회 2014~2023 선집>을 함께 읽어보시는 것도 제안드리며 4월을 보내려 합니다.

라인y1

출판사는 지금 : 냉수

저는 최근 러닝을 시작했습니다. 달리고 싶다는 마음은 먹은 지 오래인데, 무릎에 무리가 갈까 봐, 강아지랑 같이 뛰는 건 쉽지 않아서 등 갖은 핑계를 대며 미뤄 왔죠. 그러다 두 가지 계기로 스타트를 끊었습니다. 멋진 계기라면, 러닝에 대한 앤솔러지를 만들게 되면서이고요(네, 저는 과몰입 전문 편집자니까요), 좀더 솔직한 계기는 내란성 우울로 견디다 못해 집밖을 뛰쳐나온 것도 있습니다.

일단 마음만 먹는다면 현관 밖을 나서기만 해도 되는 운동이 바로 러닝이 아닐까 싶은데요. 『러닝클럽』 속 <러닝 메이트>의 주인공 경희도 해가 있는 시간에는 집을 나서지 못하는 은둔자였습니다.

거대한 존재와의 언제 끝날지 모르는 싸움, 간신히 붙잡았던 투쟁의 결과는 보란듯한 패배. 노동조합 지부장이었던 경희는 조합이 박살나던 날 이후로 집에 틀어박혀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나날을 보냅니다. 그러다 멀리 사는 ‘돈 잘 버는’ 친구 지숙이 내 돈으로는 살 수도 없는 비싼 VR 고글까지 보내주며 나가서 달리기라도 해 보라고 권유합니다. VR로 만난 세계는 경이로웠고, 경희는 희망이 부서진 날 이후 잃어버렸던 기대감을 되찾게 되죠. “세상에, 아침을, 아침을 다시 기대하고 있었다.” (151쪽)

리베카 솔닛의 책 『걷기의 인문학』에는 ‘가장 철학적이고 예술적이고 혁명적인 인간의 행위에 대하여’라는 부제가 붙어 있습니다. 우리는 역시 발걸음을 앞으로 옮길 때 무엇이든 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되는 것 아닐까요? + 더 보기

라인y2

영화 <서브스턴스> 보셨나요?

청소년관람불가 독립예술영화로서 10년 만에 50만 고지를 돌파한 영화 <서브스턴스>가 화제입니다. (83만 관객이 든 2014년 개봉작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이 이 기록을 낸 직전 작품이었다고 합니다.) 에어로빅쇼 진행자인 50대 여성 엘리자베스 스파클이 어리지 않다는 이유로 해고를 당한 후 소개받은 의문의 주사 '서브스턴스'를 신체에 주입해 젊고 아름답고 완벽한 여성 '수'로 다시 태어난다는 설정의 영화입니다.

최정화의 장편소설 <호르몬 체인지>는 타인의 호르몬을 주입받아 생체 나이를 젊게 되돌리는 수술이 가능해진 세상을 배경으로 합니다. 돈으로 젊음을 살 수 있는 세계에서 노화는 부끄러운 것이 되고, 사람들은 수치를 피하기 위해 부작용을 감수하고 호르몬을 투여합니다. '문학판 서브스턴스'로 SNS에서 화제가 되기도 한 작품입니다.

단요의 장편소설 <트윈>의 표지는 <서브스턴스>의 인트로 장면을 연상시킵니다. 달걀 노른자에 주사를 투입하면 한 개이던 노른자가 두 개로 나뉘던 장면이 앞으로 이어질 이야기를 상징하고 있었습니다. 일란성 쌍둥이 두 딸 중 한 명이 추락사했습니다. 추락사한 딸은 치의대에 다니고 있는 우연, 남아 있는 딸은 5수 중인 지연입니다. 민형은 세상에 우연이 살아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남은 아이에게도 더 유익하므로... '대체'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는 소설입니다.

라인G2
이번 편지 어떻게 보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