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사실주의 작가의 세부적인 풍부한 묘사와 단순하고 명쾌한 언어가 돋보이는 작품 “프루스는 폴란드 소설의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사실주이자이며, 『인형』은 19세기 폴란드 최고의 소설이다.” - 스타니스와프 바라인차크(Stanisław Baranczak), 하버드대학 폴란드 문학 교수, 시인 프루스는 『인형』을 통해 폴란드 귀족들의 완고한 특권 의식, 이기심, 도덕적 해이, 경제관념의 부재, 노동에 대한 경시, 시대 변화에 대한 무지, 이성적 사고의 불능 등 폴란드의 근대화에 장애가 되는 봉건주의적 잔재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또한 이 소설에는 작가의 온화한 심성과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이 잘 반영되어 있다. 크세소프스키 부부나 마루세비츠 등 아무리 사악한 인물들도 인간적인 면이 있음을 보여 준다. 혹은 스타르스키처럼 많은 사람을 불행하게 만들었던 무위도식하는 철면피 같은 인물은 끝까지 스스로 반성하는 빛을 보이지 않지만, 그의 부도덕적인 행위 ‘덕택’에 다른 사람이 비로소 사실에 대해 눈을 뜨게 되고 새로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해석함으로써 그의 악행에도 순기능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 정병권, 「해설」 중에서 판본 소개 소설 『인형(Lalka)』은 바르샤바에서 발행되던 「쿠리에르 신문(Kurier Codzienny)」에 1887년부터 1889년까지 연재되면서 독자들에게 알려졌다. 연재가 끝난 이듬해인 1890년에 바르샤바에 있는 ‘게베트너 와 볼프(Gebethner i Wolff)’ 출판사에서 한 권의 책으로 발간되었다. 하나의 책 안에서 1권(Tom I), 2권(Tom II), 3권(Tom III)으로 나누어져 있고, 모두 3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폴란드 문학 고전 작품 중에서 가장 많이 사랑받고 꾸준히 읽히는 작품 중 하나인 이 소설은 수많은 출판사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으로 출판되었다. 20세기에 발행된 『인형』은 어느 출판사에서 발행되었건 내용은 동일하지만 ‘권’과 ‘장’의 분류가 원본과 다른 경우도 있다. 바르샤바에 있는 ‘국립출판사(Państwowy Instytut Wydawniczy)’에서 1972년에 발행된 『인형』은 원본처럼 한 권의 책 안에서 1권, 2권, 3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장’이 원본과 다르게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원본 2권에 있는 제9장의 내용이 ‘국립출판사’판에서는 3권 제10장(맨 끝에서 두 번째 장)에 들어 있다. 브로츠와프(Wrocław)에 있는 ‘시에드미오룩 (Siedmiorog)’ 출판사에서 2001년에 발행된 ‘명작들의 국립 도서관(Narodowa Biblioteka Arcydzieł)’ 시리즈판 『인형』도 1972년 ‘국립출판사’판과 같은 순서로 ‘장’이 분류되어 있다. 다만 ‘국립출판사’판은 3권으로 되어 있으나 ‘시에드미오룩’ 출판사에서 발행된 『인형』은 한 권의 책 안에 1권과 2권으로 분류되어 있다. 『인형』 최신판인 인터넷판(wolnelektury.pl)도 1권과 2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장’의 순서도 ‘시에드미오룩’판과 동일하다. 그러나 ‘시에드미오룩’판에는 러시아 정부의 검열에서 삭제된 부분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 한국어판 『인형』은 ‘국립출판사’가 1972년에 발행한 Lalka를 번역한 것이다. 다만 ‘권’과 ‘장’은 ‘시에드미오룩’판처럼 분류했다. 안토니 우니에호프스키(Antoni Uniechowski)의 삽화가 있는 ‘국립출판사’판 『인형』은 하나의 책 안에서 ‘권’마다 쪽 번호가 마치 별개의 책처럼 매겨 있다. 1권이 335쪽에서 끝나고, 2권이 다시 1쪽부터 시작하여 393쪽까지 계속되고, 새로 1쪽부터 334쪽까지가 3권을 이루고 있다." /> 위대한 사실주의 작가의 세부적인 풍부한 묘사와 단순하고 명쾌한 언어가 돋보이는 작품 “프루스는 폴란드 소설의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사실주이자이며, 『인형』은 19세기 폴란드 최고의 소설이다.” - 스타니스와프 바라인차크(Stanisław Baranczak), 하버드대학 폴란드 문학 교수, 시인 프루스는 『인형』을 통해 폴란드 귀족들의 완고한 특권 의식, 이기심, 도덕적 해이, 경제관념의 부재, 노동에 대한 경시, 시대 변화에 대한 무지, 이성적 사고의 불능 등 폴란드의 근대화에 장애가 되는 봉건주의적 잔재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또한 이 소설에는 작가의 온화한 심성과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이 잘 반영되어 있다. 크세소프스키 부부나 마루세비츠 등 아무리 사악한 인물들도 인간적인 면이 있음을 보여 준다. 혹은 스타르스키처럼 많은 사람을 불행하게 만들었던 무위도식하는 철면피 같은 인물은 끝까지 스스로 반성하는 빛을 보이지 않지만, 그의 부도덕적인 행위 ‘덕택’에 다른 사람이 비로소 사실에 대해 눈을 뜨게 되고 새로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해석함으로써 그의 악행에도 순기능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 정병권, 「해설」 중에서 판본 소개 소설 『인형(Lalka)』은 바르샤바에서 발행되던 「쿠리에르 신문(Kurier Codzienny)」에 1887년부터 1889년까지 연재되면서 독자들에게 알려졌다. 연재가 끝난 이듬해인 1890년에 바르샤바에 있는 ‘게베트너 와 볼프(Gebethner i Wolff)’ 출판사에서 한 권의 책으로 발간되었다. 하나의 책 안에서 1권(Tom I), 2권(Tom II), 3권(Tom III)으로 나누어져 있고, 모두 3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폴란드 문학 고전 작품 중에서 가장 많이 사랑받고 꾸준히 읽히는 작품 중 하나인 이 소설은 수많은 출판사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으로 출판되었다. 20세기에 발행된 『인형』은 어느 출판사에서 발행되었건 내용은 동일하지만 ‘권’과 ‘장’의 분류가 원본과 다른 경우도 있다. 바르샤바에 있는 ‘국립출판사(Państwowy Instytut Wydawniczy)’에서 1972년에 발행된 『인형』은 원본처럼 한 권의 책 안에서 1권, 2권, 3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장’이 원본과 다르게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원본 2권에 있는 제9장의 내용이 ‘국립출판사’판에서는 3권 제10장(맨 끝에서 두 번째 장)에 들어 있다. 브로츠와프(Wrocław)에 있는 ‘시에드미오룩 (Siedmiorog)’ 출판사에서 2001년에 발행된 ‘명작들의 국립 도서관(Narodowa Biblioteka Arcydzieł)’ 시리즈판 『인형』도 1972년 ‘국립출판사’판과 같은 순서로 ‘장’이 분류되어 있다. 다만 ‘국립출판사’판은 3권으로 되어 있으나 ‘시에드미오룩’ 출판사에서 발행된 『인형』은 한 권의 책 안에 1권과 2권으로 분류되어 있다. 『인형』 최신판인 인터넷판(wolnelektury.pl)도 1권과 2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장’의 순서도 ‘시에드미오룩’판과 동일하다. 그러나 ‘시에드미오룩’판에는 러시아 정부의 검열에서 삭제된 부분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 한국어판 『인형』은 ‘국립출판사’가 1972년에 발행한 Lalka를 번역한 것이다. 다만 ‘권’과 ‘장’은 ‘시에드미오룩’판처럼 분류했다. 안토니 우니에호프스키(Antoni Uniechowski)의 삽화가 있는 ‘국립출판사’판 『인형』은 하나의 책 안에서 ‘권’마다 쪽 번호가 마치 별개의 책처럼 매겨 있다. 1권이 335쪽에서 끝나고, 2권이 다시 1쪽부터 시작하여 393쪽까지 계속되고, 새로 1쪽부터 334쪽까지가 3권을 이루고 있다." /> 위대한 사실주의 작가의 세부적인 풍부한 묘사와 단순하고 명쾌한 언어가 돋보이는 작품 “프루스는 폴란드 소설의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사실주이자이며, 『인형』은 19세기 폴란드 최고의 소설이다.” - 스타니스와프 바라인차크(Stanisław Baranczak), 하버드대학 폴란드 문학 교수, 시인 프루스는 『인형』을 통해 폴란드 귀족들의 완고한 특권 의식, 이기심, 도덕적 해이, 경제관념의 부재, 노동에 대한 경시, 시대 변화에 대한 무지, 이성적 사고의 불능 등 폴란드의 근대화에 장애가 되는 봉건주의적 잔재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또한 이 소설에는 작가의 온화한 심성과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이 잘 반영되어 있다. 크세소프스키 부부나 마루세비츠 등 아무리 사악한 인물들도 인간적인 면이 있음을 보여 준다. 혹은 스타르스키처럼 많은 사람을 불행하게 만들었던 무위도식하는 철면피 같은 인물은 끝까지 스스로 반성하는 빛을 보이지 않지만, 그의 부도덕적인 행위 ‘덕택’에 다른 사람이 비로소 사실에 대해 눈을 뜨게 되고 새로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해석함으로써 그의 악행에도 순기능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 정병권, 「해설」 중에서 판본 소개 소설 『인형(Lalka)』은 바르샤바에서 발행되던 「쿠리에르 신문(Kurier Codzienny)」에 1887년부터 1889년까지 연재되면서 독자들에게 알려졌다. 연재가 끝난 이듬해인 1890년에 바르샤바에 있는 ‘게베트너 와 볼프(Gebethner i Wolff)’ 출판사에서 한 권의 책으로 발간되었다. 하나의 책 안에서 1권(Tom I), 2권(Tom II), 3권(Tom III)으로 나누어져 있고, 모두 3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폴란드 문학 고전 작품 중에서 가장 많이 사랑받고 꾸준히 읽히는 작품 중 하나인 이 소설은 수많은 출판사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으로 출판되었다. 20세기에 발행된 『인형』은 어느 출판사에서 발행되었건 내용은 동일하지만 ‘권’과 ‘장’의 분류가 원본과 다른 경우도 있다. 바르샤바에 있는 ‘국립출판사(Państwowy Instytut Wydawniczy)’에서 1972년에 발행된 『인형』은 원본처럼 한 권의 책 안에서 1권, 2권, 3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장’이 원본과 다르게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원본 2권에 있는 제9장의 내용이 ‘국립출판사’판에서는 3권 제10장(맨 끝에서 두 번째 장)에 들어 있다. 브로츠와프(Wrocław)에 있는 ‘시에드미오룩 (Siedmiorog)’ 출판사에서 2001년에 발행된 ‘명작들의 국립 도서관(Narodowa Biblioteka Arcydzieł)’ 시리즈판 『인형』도 1972년 ‘국립출판사’판과 같은 순서로 ‘장’이 분류되어 있다. 다만 ‘국립출판사’판은 3권으로 되어 있으나 ‘시에드미오룩’ 출판사에서 발행된 『인형』은 한 권의 책 안에 1권과 2권으로 분류되어 있다. 『인형』 최신판인 인터넷판(wolnelektury.pl)도 1권과 2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장’의 순서도 ‘시에드미오룩’판과 동일하다. 그러나 ‘시에드미오룩’판에는 러시아 정부의 검열에서 삭제된 부분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 한국어판 『인형』은 ‘국립출판사’가 1972년에 발행한 Lalka를 번역한 것이다. 다만 ‘권’과 ‘장’은 ‘시에드미오룩’판처럼 분류했다. 안토니 우니에호프스키(Antoni Uniechowski)의 삽화가 있는 ‘국립출판사’판 『인형』은 하나의 책 안에서 ‘권’마다 쪽 번호가 마치 별개의 책처럼 매겨 있다. 1권이 335쪽에서 끝나고, 2권이 다시 1쪽부터 시작하여 393쪽까지 계속되고, 새로 1쪽부터 334쪽까지가 3권을 이루고 있다." />

알라딘

헤더배너
국내도서
건강/취미
경제경영
고전
과학
달력/기타
대학교재/전문서적
만화
사회과학
소설/시/희곡
수험서/자격증
어린이
에세이
여행
역사
예술/대중문화
외국어
요리/살림
유아
인문학
자기계발
장르소설
잡지
장르소설
전집/중고전집
종교/역학
좋은부모
청소년
컴퓨터/모바일
초등학교참고서
중학교참고서
고등학교참고서
 
국내도서 > 인형 -을유문화사

인형 -을유문화사 : 이 시리즈에 2권의 도서가 있습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