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학회/무크/계간지
rss
이 분야에 1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1.

186호에서는 우리가 기후위기 시대를 무사히 건너가기 위한 키워드의 하나로 공공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의료, 금융, 교통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왜 반드시 공공성의 강화가 필요한지, 그리고 그런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 어떤 전략과 정책수단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2.
3.

2023년의 제7회 엘릭시르 미스터리 대상의 단편 부문에 선정된 세 편의 작품을 게재한다. 배연우의 「탐정, 수정」은 가짜 진상을 제시하는 탐정과 수정된 진상을 제시하는 또 다른 탐정의 대립을 통해 미스터리 장르에 대한 확고한 이해를 펼쳐 보인다.

4.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6월 17일 출고 

『황해문화』 편집위원회는 북한의 ‘두 국가론’ 선언이 어떤 경로를 거쳐 나온 것인지 남북 관계와 국제 정세의 긴 흐름 속에서 파악해보고, 평화를 향한 우리의 대안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북한의 두 국가론 선언,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제목으로 특집을 기획했다.

5.

라임 앤 리즌 시리즈는, 혼란스러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일종의 색안경이자 문화적 충분조건으로 ‘장르Genre’를 설정하고, 이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를 담고자 한다.

6.

OECD 회원국 중 가장 오래 일하고 가장 적게 자는 나라 대한민국. 특별한 체험을 선사하는 여가 상품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갓생 지침서'가 넘쳐나는 가운데, 쉼은 각자의 취향과 성향이 반영된 또 다른 삶의 영역이다. 요즘 사람들은 어떻게 쉬고 있을까? 나에게 가장 잘 맞는 쉼의 형태는 무엇일까? 활기참과 고요함의 모습을 탐구하는 한편의 쉼 가이드.

8.

사회운동과 정치는 앞서거니 뒤서거니 나아간다. 사회운동이 방향을 제시하지만 정치는 공동체의 합의를 끌어내야 하기에 기우뚱거리며 때로는 그 방향을 빗겨나기도 한다. 정치가 반드시 똑바로 가지는 않더라도 정치는 인간의 사회적 삶의 중심으로서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9.

『계간 한국의 고고학』은 인류 문화유산을 먼저 생각하는 국내 유일의 고고학 잡지로 통권 63호가 발간되었다. 63호 표지 사진으로는 호암박물관 동아시아 불교미술 기획전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전시품인 ‘금동 관음보살 입상(金銅觀音菩薩立像)’을 소개하였다.

10.

이번 호 《뉴필로소퍼》는 ‘상실, 잃는다는 것에 대하여’라는 타이틀 아래, 상실이라는 상황 앞에 펼쳐지는 여러 철학자들의 사유와 조언의 목소리를 들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