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문학의 이해
rss
이 분야에 8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1.
  • ePub
  • 갈라지는 욕망들 - 한영인 평론집 
  • 한영인 (지은이) | 창비 | 2024년 6월
  • 19,200 (종이책 정가 대비 20% 할인), 마일리지 960원 (5% 적립)
  • 40.04 MB | TTS 지원

계간 『창작과비평』 편집위원으로서 독창적인 시각과 도발적인 질문을 바탕으로 힘있는 비평을 써내며 독자들의 주목과 문단의 인정을 두루 받아온 문학평론가 한영인의 첫번째 평론집. '한류' '캔슬컬처' 같은 톡톡 튀는 주제를 섬세한 독해와 결부해가며 흡인력 있는 글을 완성하는 발군의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한 데 더해 기존 문학평론집에서 좀처럼 볼 수 없는 유머와 위트까지 곳곳에 담아냈다.

2.

중국조선족 이야기꾼 12명의 구연설화 83편을 채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중국조선족 구연설화와 정리설화의 실상 및 그 상관관계를 살핀 내용을 두루 담고 있다. 여기에 수록된 83편의 구연설화는 1999년에서 2000년 사이에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경내의 몇몇 지역에서 채록한 녹음 자료이다.

3.

사람들이 시를 사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의 언어에는 어떤 세계가 숨어 있을까? 시에서 ‘내 것보다 더 내 것 같은 시인의 언어’를 만났다는 중화권을 대표하는 인문학자 양자오가 ‘교양’으로서 시를 만나는 방법을 안내한다.

4.
5.
6.
7.

한국일본학회가 2016년 간행한 기획총서 <경쟁과 협력의 한일관계>(논형)에 이은 두 번째 기획총서이다. 첫 번째 총서가 일본 정치.경제.사회 등 일본학 전반을 다루었다면 이번 총서는 일본문학을 중심으로 다룬다.

8.
9.
10.

201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비평활동을 시작한 그의 첫 평론집이다. 인간과 텍스트에 관한 지극한 이해와 공감에서 비롯한 혜안, 눙치지 않는 단단한 논리로 하여금 ‘코어’가 있는 비평을 써온 이지은. 『소셜 클럽』은 그의 첫 책이지만 일가를 이루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 만큼 견고한 개성으로 축조되었다.

11.

서양철학을 이해함에 있어 자연과학에 대한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영국 경험주의 철학의 대표적 저작물로, 버클리 철학의 전모를 새롭게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새로운 시각 이론에 관한 시론>과 <신의 직접적인 현전과 섭리를 보여주는 시각 이론 또는 시각적 언어 이론에 대한 옹호와 설명>의 번역이 실려 있다.

13.
14.
15.

조지훈의 문학은 불교의 선적인 것, 유가적인 것, 전통의 고전적 미학을 추구한 것으로 나뉜다. 친근하게 느껴지는 것은 후기에 자신의 심경을 담백하게 토로한 유고시 <병에게> 같은 시이지만 초기 불교의 선 감각을 보여 준 <고사>나 <낙화>같은 시도 명편이라고 할 수 있다.

16.

저자오형엽 의 석사논문과 박사논문을 근간으로 이루어진, ‘한국 근대시론’과 ‘한국 근대시’에 대한 연구서.

17.

한민족의 시가가 발달해 온 긴 역사 중에서 기록되어 전하는 가장 이른 작품이 지어진 때로부터 근대시가가 발달하기 전(1894년 갑오개혁 이전)까지의 약 2천 년간의 고전시가의 발달사를 살펴서 그 진행과 변화 그리고 특질 등을 체계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18.

한국의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전환기에 창작 발표된 소설들에 나타난 기독교 담론과 서사에 관한 양상을 살펴보는 문학 연구서이다. 저자는 『성산명경』, 『고목화』, 『금수회의록』, 『경세종』, 『광야』, 『박연폭포』, 『눈물』, 『부벽루』, 『뿌린씨』 등 근대 전환기에 기독교를 다룬 작품들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19.
20.
21.

“방대한 자료를 서사에 녹여낸” “한 편의 소설” 같은 논픽션. 언론과 평단의 찬사를 받으며 2021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최종 후보에 오른 『동등한 우리』(원제: The Equivalents)가 출간됐다. 1960년 래드클리프대학에서 시작된 혁명적인 프로젝트를 발판 삼아 ‘작가’로 도약한 여자들의 우정과 야망, 예술과 사회참여, 사랑과 상심의 서사를 엮은 논픽션이다.

22.

문학을 통해서 사고력 교육을 한다고? 고개를 갸우뚱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 문학은 정서적 감상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문학독서란 문학텍스트의 불확정성의 빈틈을 메우고 공감하며 재창조하는 과정이고 의미의 다면성을 탐색하는 사고과정이다.

23.

전통적인 문학사관에 반기를 들어 고문(古文) 중심의 문학사 서술을 전복시키고 백화문학을 문학의 정종으로 세우기 위한 새로운 역사 서술을 구상하여 저술한 책.

24.
25.